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소개 신청 자격 방법 지원 대상 내용 에 대한 정보를 찾고자 하셨을 겁니다.
저 역시도 해당 정보로 직접 도움을 받아봤기에 저의 경험과 함께 가장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바탕으로 포스팅을 정성껏 작성하였습니다.

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면 정확하고도 가장 확실한 정보를 얻게 되실 겁니다.
Contents
시작하며
그동안 자해, 타해 등 도전행동이 심한 최중증 발달장애인들은 돌봄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.
이런 분들의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지원하고, 보호자의 돌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정부에서 ‘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’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합니다.
최중증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. 그럼 본격적으로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의 신청방법과 지원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소개

장애의 정도가 극심한 발달장애인에게 1:1 맞춤형 낮활동 또는 야간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2022년 발달장애인법 개정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, 2024년 6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입니다.
정부는 올해 최중증 발달장애인 지원 예산을 38.8% 증액해 더 많은 장애인 가정에 혜택을 줄 계획이라고 하니 그 혜택을 기대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.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신청 자격 방법

18세 이상 65세 미만 등록 지적·자폐성 장애인으로 희망하는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
신청은 발달장애인 당사자 및 보호자가 주민등록상 주소지 시군구 내의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서 하면 됩니다.
신청기간은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이며, 지자체 여건에 따라 추가 모집이 진행되거나 모집 시기가 상이할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각 지역 행정복지센터와 17개 시·도별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지원 대상 내용

도전행동이 심하고,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에 심각한 제약을 가지고 있으며, 개인 및 사회환경 특성에 따른 지원 필요도도 강해서 통합돌봄이 필요한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합니다.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선정기준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에 배치하여 1:1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,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.
구분 | 내용 |
---|---|
24시간 개별 지원 | 산책, 체육, 음악, 미술활동 등 지역사회 생활 훈련을 지원하는 주중 낮활동과 야간돌봄을 포함한 24시간 돌봄서비스 제공 |
주간 개별 지원 | 장애인복지관 등 지역사회 인프라 시설을 보강하고, 전문 인력을 지원하여 개인별 맞춤형 낮 활동 서비스 제공 |
주간 그룹형 지원 | 사회서비스 이용권(바우처)을 제공하여 낮 시간에 그룹형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담인력 배치 지원 |
신청자가 서비스를 신청하면, 지역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방문조사 및 시·도별 통합돌봄서비스 조정위원회 심의 등이 진행됩니다.
이후 신청자의 희망과 유형별 선정 기준을 고려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요약정리
구분 | 내용 |
---|---|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란? | 장애의 정도가 극심한 발달장애인에게 1:1 맞춤형 낮활동 또는 야간돌봄 서비스 제공 |
신청자격 | 18세 이상 65세 미만 등록 지적·자폐성 장애인 |
신청방법 | 주민등록상 주소지 시군구 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|
신청기간 | 4월 15일 ~ 4월 30일 (지자체별 추가모집 및 시기 상이 가능) |
지원대상 | 도전행동 심하고, 일상생활 수행 및 의사소통에 심각한 제약, 개인/사회환경 특성상 지원필요도 높은 발달장애인 |
지원내용 | 24시간 개별 지원, 주간 개별 지원, 주간 그룹형 지원 등 맞춤형 서비스 |
결론
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는 그동안 돌봄의 사각지대에 있던 분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보호자의 돌봄 부담 경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해당되는 분들은 4월 30일까지 꼭 신청하시어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.
아무쪼록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소개 신청 자격 방법 지원 대상 내용 글이 최중증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